-
● JSP 동작 원리
① 클라이언트가 웹 브라우저로 .jsp를 요청함
② JSP 컨테이너가 JSP 파일을 Servlet파일(.java)로 변환
③ Servlet파일(.java)은 컴파일된 후 클래스 파일(.class)로 변환
④ 요청한 클라이언트한테 html 파일 형태로 응답
∴ .jsp -> .java -> .class -> html
서블릿은 최초에 하나 만들어짐
클라이언트에서 요청이 되면 서블릿이 만들어지면서 스레드가 만들어짐
또 요청이 들어오면 서블릿 객체를 이용해서 스레드가 만들어짐
스레드로 관리되기 때문에 다른 CGI 언어에 비해 속도가 빠름
클라이언트가 요청을 해 JSP는 서블릿이 있는지 없는지 확인
없으면 - servlet.java , servlet.class를 이용해서 객체를 만듦
만든 객체를 메모리에 올린 후 실행
있으면 - 다시 재활용 해 그대로 씀
● JSP 내부 객체
- 내부 객체란? 개발자가 객체를 생성하지 않고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객체
내부 객체 종류
① 입출력 객체 : request, response, out
② 서블릿 객체 : page, config
③ 세션 객체 : session
④ 예외 객체 : exception
● 지시자
- JSP 페이지의 전체적인 속성을 지정할 때 사용
- <%@ 속성 %>
① page 지시자
- 해당 페이지의 전체적인 속성을 지정
- 주로 사용되는 언어 지정 및 import문을 많이 사용
② include 지시자
- 현재 페이지 내에 다른 페이지를 삽입할 때 사용
- file 속성을 이용
<결과>
include.jsp 페이지 입니다.
include01.jsp 페이지 입니다.
다시 include.jsp 페이지 입니다.
html 소스 코드 <h1>include.jsp 페이지 입니다. </h1> <br/> 이 먼저 실행
<%@ include file="include01.jsp"%> 이 실행 되면서 include01 파일을 불러 옴
그 후 마지막으로 <h1>다시 include.jsp 페이지 입니다. </h1> <br/>이 실행
③ taglib 지시자
- 사용자가 만든 tag : 태그라이브러리
- uri, prefix 속성이 있음
- uri : 태그라이브러리의 위치 값을 가짐
- prefix : 태그를 가리키는 이름 값을 가짐
'IT > JS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esponse객체 (0) 2020.03.12 Requset 객체 (0) 2020.03.12 JSP (0) 2020.03.06 Servlet - 2 (0) 2020.03.06 Servlet (0) 2020.03.06